복지정보

임신, 출산 진료비 (국가지원)

임신,출산 지원금

따라 신청하고
최대 140만원 받는법

임신출산지원금, 따라만 하면 140만원 받는 법 (2025년 최종판)

대한민국 정부가 최대 140만원(+α)의 진료비를 지원하는 '국가대표 임신 축하 선물'을 준비했습니다. 바로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국민행복카드 바우처)' 제도입니다.

이름이 조금 어렵게 느껴지시나요? 쉽게 말해 '정부가 병원비를 대신 내주는 선불카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 글에서는 수많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길을 잃지 않도록, 가장 중요한 핵심만 쏙쏙 뽑아 A부터 Z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이것만 읽으면 당신도 똑똑한 예비 부모!

Step 1. 나는 얼마를 받을 수 있을까? (지원 대상 & 금액)

가장 중요한 지원금액부터 시원하게 알려드릴게요. 이 혜택은 대한민국에서 아이를 기다리는 거의 모든 예비 부모님을 위한 선물입니다.

📢지원 대상: 병원에서 '임신 확인'을 받은 건강보험 가입자라면 누구나! (외국인 등록 및 건강보험 가입자도 포함)

지원 금액은 아기의 수와 엄마의 거주지에 따라 조금씩 달라져요.

👶 한 명의 아기를 임신했다면 (단태아): 총 100만원 지원
👶 쌍둥이 등 두 명 이상의 아기를 임신했다면 (다태아): 총 140만원 지원
🏘️ '분만취약지역'에 거주하신다면: 위 금액에 +20만원 추가 지원!

* 잠깐! 분만취약지역이란? 산부인과가 부족하거나 거리가 멀어 병원 가기 어려운 일부 지역을 말해요. 내가 사는 곳이 해당되는지는 바로 아래 Step 2에서 확인하세요!

안타깝게 임신 20주 이후 유산이나 사산을 경험하신 경우에도, 몸과 마음을 추스를 수 있도록 100만원의 지원금이 동일하게 지급됩니다.


Step 2. 20만원 추가 지원 '분만취약지역' 확인하기

정부는 의료 시설이 부족한 지역의 임산부를 위해 20만원을 추가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아래 지역 중 하나라면 놓치지 말고 꼭 챙기세요!

2024-2025년 기준 분만취약지역 리스트
시/도해당 지역
인천강화군, 옹진군
경기연천군, 가평군, 양평군
강원홍천군, 인제군, 정선군, 평창군, 화천군
충북보은군, 괴산군, 단양군
전북진안군, 무주군, 장수군
전남보성군, 완도군, 진도군, 신안군
대구군위군
경북의성군,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 청도군, 봉화군, 울릉군
경남의령군, 남해군, 합천군

💡 꿀팁: 신청 당시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기준이 됩니다. 헷갈리신다면 국민건강보험공단(📞1577-1000)에 전화해서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해요.


Step 3. 가장 쉬운 신청 방법, 이것만 준비하세요!

이제 선물을 받을 차례입니다. 신청 방법은 정말 간단해요. 딱 두 가지만 기억하세요. '임신확인서''신분증'!

신청 전 필수 준비물 체크리스트


🧾임신확인서: 다니는 산부인과에서 발급받을 수 있어요. "국민행복카드 신청하려고요"라고 말씀하시면 알아서 발급해주십니다.
🧾본인 신분증: 주민등록증이나 운전면허증을 준비해주세요.

신청 방법은 크게 '온라인'과 '방문' 두 가지가 있습니다. 어떤 방법이 나에게 맞을지 장단점을 비교해 보세요.

방법장점단점
💻 온라인 신청병원 방문 외 외출 불필요, 24시간 언제든 가능, 매우 빠름스마트폰/PC 사용이 익숙하지 않으면 조금 낯설 수 있음
🚶‍♀️ 방문 신청직원에게 직접 물어보며 신청 가능, 마음이 편안함직접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 은행/공단 영업시간에만 가능

💻 온라인 신청 (강력 추천! 가장 편해요)

병원에서 "바우처 신청하게 정보 좀 온라인에 올려주세요" 이 한 마디면 준비의 90%가 끝납니다.

병원에 온라인 등록 요청하기: 진료 후, 수납처에 위처럼 요청하세요.

카드사 앱/홈페이지/전화로 신청:
원하는 카드사(KB국민, 신한, 삼성, 롯데, BC)를 정하고, 해당 카드사 앱이나 홈페이지에 접속해 '국민행복카드'를 검색해서 신청하면 끝! 전화 신청도 가능합니다.

🚶‍♀️ 방문 신청 (꼼꼼하게 직접 해야 마음 편한 분들께)

▶️'종이' 임신확인서 발급받기: 온라인 신청과 달리, 반드시 서류를 손에 들고 있어야 해요.
▶️ 신분증, 임신확인서 들고 방문하기: 아래 장소 중 가장 가까운 곳으로 가시면 됩니다.
▶️주요 은행: KB국민, 신한, 우리, 농협, 기업은행 등
▶️카드사 지점: KB국민카드, 신한카드, 롯데카드 등
▶️ 백화점 내 카드센터: 삼성카드, 롯데카드 등
▶️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 또는 가까운 주민센터

💡 꿀팁: 어떤 카드를 골라야 할지 고민되시죠? 정부 지원금액은 모든 카드가 동일해요. 그러니 연회비는 없는지, 내가 자주 쓰는 마트/주유소 할인 혜택이 있는지 등 카드 자체의 혜택을 비교해보고 고르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입니다.


Step 4. 지원금 사용 & 잔액 확인법 (1원까지 알뜰하게!)

축하합니다! 카드를 받으셨다면 이제 정부가 준 소중한 지원금을 사용할 시간입니다.

💰언제까지, 어디서 사용할 수 있나요?


사용 기간: 분만예정일로부터 2년까지!
기간이 아주 넉넉하죠? 임신 기간 중에 다 못 써도, 아기가 태어난 후 2년 동안 병원비, 약값으로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처:
임신/출산: 산부인과 진료비(초음파, 기형아 검사 등), 출산비, 산후조리원(의료비 항목), 처방받은 약이나 영양제(철분제 등) 구입비

2세 미만 영유아: 소아과 진료비(예방접종, 감기 등), 모든 병의원, 약국에서 사용 가능


💰 내 지원금, 얼마나 남았지? 잔액 확인 방법

결제할 때마다 남은 잔액이 얼마인지 궁금하실 거예요. 확인 방법은 아주 쉽습니다.

결제 영수증 확인: 카드 결제 후 받는 영수증 하단에 '바우처 잔액'이 표시됩니다.
카드사 앱/홈페이지: 이용 내역 조회 메뉴에서 바우처 사용 내역과 잔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문자 알림 서비스: 카드 결제 시 오는 문자 메시지에 잔액 정보가 함께 표시됩니다. (신청 필요)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카드는 받았는데, 바우처는 언제 충전되나요?

A: 보통 카드 사용 등록을 마친 다음 날(영업일 기준) 바우처가 충전됩니다. 바로 사용이 안 될 수 있으니 하루 정도 기다려주세요.

Q2: 지원금을 다 쓰면 카드는 버려야 하나요?

A: 아니요! 바우처를 다 사용해도 일반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로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정부 지원(첫만남이용권, 에너지바우처 등)도 이 카드 하나로 통합해서 받을 수 있으니 잘 보관하세요.

Q3: 남편 명의로도 신청할 수 있나요?

A: 아니요, 원칙적으로 혜택을 받는 임산부 본인 명의로 신청하고 발급받아야 합니다.

Q4: 실수로 국민행복카드가 아닌 다른 카드로 결제했어요!

A: 걱정 마세요! 병원에 연락해서 기존 결제를 취소하고, 국민행복카드로 다시 결제해달라고 요청하시면 됩니다.